
반응형
top 명령어를 쳤을 때 나오는 TIME+ 에 있는 시간!!!
저는 그냥 해당 커맨드가 실행된 시간을 나타내는 줄 알았었는데요
배치 테스트한다고 nohup으로 띄워두고서 나중에 확인해보니
24시간정도밖에 지나지 않았는데 520시간 이런식으로 너무 터무니 없이 크게 나오는 겁니다
아무리 생각해도 이상해서 찾아보니, TIME+은 실제 시간이 아닌 CPU가 실제 사용된 시간을 말합니다.
멀티코어이거나 병렬처리를 하는 경우엔 합산해서 결과가 나오게 됩니다!!
CPU가 사용된 시간을 말하는거라 상태가 Sleeping이거나 I/O처리 중이여서 I/O작업이 끝날때까지 기다리는 상태 등등
CPU가 사용중이지 않으면(=RUNNING이 아니면) TIME+에 나오는 시간을 늘지가 않습니다!!!
이번에 작업하면서 처음 알게 된 사실이라 많이 충격 먹었습니다
아직 모르는 게 참 많구나
많이 배워야겠다 ..ㅎ
(밑의 사진은 그냥 top 쳤을 때 저 부분 TIME+ 에 대한 설명인걸 표시하기 위한 첨부사진입니다 .. )
( 제 놑북에서 VMware로 켜서 바로 캡쳐함)
반응형
'리눅스' 카테고리의 다른 글
리눅스 암호 걸어서 zip파일로 압축하는 방법 (0) | 2024.12.29 |
---|---|
윈도우에서 리눅스 사용하는 방법 (도커 이미지 사용) (0) | 2024.12.15 |
리눅스 vi 편집기 모드(명령모드, 입력모드, 라인모드) (0) | 2024.10.20 |
Docker 기초 (1) | 2024.10.13 |
리눅스 sudoers 파일 설정 (0) | 2024.10.06 |